top of page

09 송희정



숨쉬는 벽_Abstract Breathing


아무 것도 없는 전시장의 흰 벽이 점점 뒤로 물러서고 네 귀퉁이가 꿈틀거리더니 눈 앞의 공간이 춤을 추듯 움직이며 성큼성큼 다가선다(Twisted 연작 2006~). 벽은 풍선을 불 듯 숨을 내쉬며 부풀어 오르고(Breathing 연작 2006~) 모서리를 들춰내며 갈라진 틈을 보인다(Twisted 연작 2006~). 전시장 흰 벽의 모양새를 바꾸기도 하고 숲이나 바다와 같이 벽 안쪽으로는 들일 수 없는 외부 공간들을 끌어들이는 금민정의 작업은 전시될 공간이 바로 작품의 대상이다. 그의 작업은 공간을 찾고 만나는 순간부터 시작된다.


숨을 고르다


복원을 통해 과거의 모습을 드러내고 재현되어 있는 문화역서울 284와 RTO공연장은 역사의 상흔이 남은 외벽, 오래된 장식이 달린 문과 창문, 색이 벗겨지고 떨어져 나간 벽, 지난 90년 가까이 수 많은 사람들이 발자국을 남긴 바닥까지, 곳곳이 시간의 켜가 쌓이고 덮인 공간이자 많은 사연과 이야기를 가진 건축물이다. 이 곳에서 금민정은 작품이 되고/놓일 자리를 찾아 숨을 고른다. 그가 수집한 공간들은 어느 곳이고 어떤 부분들이 어떻게 변형되어 그 자리에 다시 자리잡아 새로운 공간을 만들어낼까?


쉬는


공연장 안으로 여러 개의 벽이 조금씩 다른 각도로 서있다. 각각의 벽들은 숨을 쉬기도 하고 살짝 뒤틀리며 창 밖의 풍경은 조용히 움직인다(Abstract Breathing). 작가는 붉은 벽돌과 시멘트, 회색, 흰색과 녹색 등 칠이 벗겨지고 뜯겨 그 밑으로 이전의 흔적이 그대로 노출되어 있는 RTO 공연장의 벽 이곳 저곳을 채집하여 공연장 안에 또 다른 벽들을 세워 놓는다. 그는 여러 층의 재료와 페인트로 쌓인 벽의 거친 모습이 바로 이 건축물이 지내온 시간이라는 것을 드러내기 위해 벽에 담긴 시간의 흔적에 변형을 가한다. 벽에 붙어있거나 떨어져 나간 페인트 자국들은 조금씩 들썩거리고 색은 짙어졌다 옅어지기를 반복하며 벽 위에 숨쉬는 색 면 조각들이 된다.

작가는 어둡고 무거운 공연장의 벽들을 견고하고 육중한 건축물에서 떼어내고 움직임(변형)과 숨(사운드)을 불어넣어 각각의 요소들이 마치 추상회화처럼 보이는 영상 설치로 RTO 공연장 내부를 현재와 공존하는 과거의 흔적, 차가움과 따뜻함, 고요함과 움직임, 실제 공간과 가상의 빛의 공간 등을 중첩시켜 대비가 공존하는 공간으로 만든다.


쉬는 공간


작품이 설치될 공간을 작품으로 만들어 이를 다시 그 공간에 설치하는, 물리적인 실재 공간에 비물질적인 가상의 공간을 포개놓거나 물리적 공간을 가상의 공간이 대체하는 작업 방식에 집중해 온 작가가 이번 전시에서는 RTO 공연장에 조각 형식의 문화역서울 284의 공간을 들여놓는다. <중앙 홀 한 켠>과 <대식당_서울역 그릴> 이 두 작품은 작가가 그 동안 고민해 온, 실재 공간과 프로젝터라는 매체를 조각과 모니터로 전환한 형식적 실험들의 결과물이다. 개별 작품들의 주제를 드러내는 조형어법인 ‘변형’과 ‘숨’의 실현이 실재공간과 프로젝터라는 표현 매체의 제약으로 인해 발생하는 한계를 넘어서려는 작가의 노력은 사진조각이라는 변형된 구조와 구조 속에 삽입되어 공간의 숨을 드러내는 모니터와의 어색하지 않은 하나됨에 있다. 예스런 창문이 있는 벽은 바닥에 붙은 양쪽 기둥에서 벗어나 벽의 형태를 유지하며 서있고 바닥의 블록들이 불안하게 흔들리고 솟았다 꺼지며 움직이는 <중앙 홀 한 켠>은 실재 중앙 홀 한 켠에서 빛과 바닥의 상태로 인해 직접 구현하기 어려울 수 있는 숨쉬는 바닥이 복도 한 켠의 숨 쉬는 공간으로 온전히 만들어진 것이다.

금민정의 변형과 숨이 ‘비디오-설치’의 숨 쉬는 벽에서 ‘비디오-조각’이라는 형식의 숨 쉬는 공간으로의 변신을 시작하였다. 그 동안 수 많은 전시장과 공간의 흰 벽, 문, 창, 바닥, 천장, 기둥들이 그의 작업의 설치로 다른 모습을 드러내왔다. 그의 숨이 고르고 그의 조각이 변형하고 들춰낼 공간들은 앞으로 어떠한 모습일까? 그가 만들어낼 공간의 대상은 우리가 경험할 수 있는 물리적인 공간을 너머 생각하지 못 했던 여러 가지가 될 수 있기를 기대해 본다.


송희정




Breathing Wall_Abstract Breathing


The white wall of an empty exhibition hall moves back gradually and the four corners start wriggling, as if the space in front of you dances and strides (Twisted series, 2006~). The wall swells like a balloon as if breathing in (Breathing series, 2006~) and brings the corners and subsequently cracks to light (Twisted series, 2006~). Transforming the shape of the white wall or embracing impossible external spaces such as forest and ocean into the interior, Guem Min-Jeong's works of art indicates that an exhibition space is her art object. Her artwork begins right from the moment when she finds and visits the exhibition space.


Breathing


Uncovering and representing the past aspects through renovation, the Culture Station Seoul 284 and RTO Performance Hall are spaces with multiple layers of time at every corner from external walls with checkered history, doors and windows with antiquated decorations, the wall with peeling paint and the floor with the traces of people’s footsteps for the past nine decades, as well as architecture containing a number of anecdotes and stories. Here, Guem selects a place to put her artwork and become part of it at the same time. Which spaces has she decided to capture? Which parts will be transformed (to what) and create a new space taking the place?


Breathing Wall


Several walls stand in slightly different angles in the RTO Performance Hall. As each wall breathes and twists a little, the landscape outside the window calmly moves (Abstract Breathing). The artist captures here and there of the walls with red bricks, cement and grey, white and green paint taken and peeled off and, thus, past traces revealed beneath, and builds a new wall in the Hall. Then she modifies the traces of time shown in the walls in order to demonstrate that the rough image of the walls with layered materials and paint indicates how long the building has been standing there. The paint still on the wall or the hint of it darkens and lightens repeatedly, becoming breathing 'color-field fragments' on the wall.


The artist produces a video installation that looks like an abstract painting with every elements by taking the dark and heavy walls off the solid and bulky architecture and instilling movement (transformation) and breath (sound), creating a space of contrasts – overlapping of present and past traces, coldness and warmth, quietness and movement, and the actual space and virtual space of light in the interior of the RTO Performance Hall.


Breathing Space


The artist has been working on the transformation of an installation space into a work of art itself and then re-installing this in the space - placing a non-physical/virtual space onto the physical/real world, or replacing a physical space with a virtual space. This time, she turns the Culture Station Seoul 284 into a sculptural form. <Seoul Station_Central Hall> and <Seoul Station_Grand Restaurant> are the results of her long-standing formative experiments in which she tried to convert the media of an actual space and a projector to sculpture and a display screen respectively. Her effort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media (the actual space and the projector) in realizing 'transformation' and 'breath' in formative expression, the themes of the artworks, is in line with harmonizing the altered structure of photo-sculpture and the screen breathing in it. <Seoul Station_Central Hall>, where the wall with antique windows stands intact away from the pillars on both sides and the blocks on the floor rise and fall in an insecurely shaky manner, is a creation by transforming the breathing floor into a breathing space at a corner in the hallway; otherwise, it could be challenging to materialize because of the light/floor conditions of the Hall in reality.

Guem Min-Jeong's transformation and breath started changing from the breathing wall of 'video-installation' to a breathing space in the form of 'video-sculpture.' The white walls, doors, windows, floors, ceilings and pillars in a number of exhibition halls and spaces have taken different forms through her installation. What image will the spaces turn into, when she selects to instill life and transforms them to video-sculpture? I expect that she generates many different spaces beyond our experience and physical space.


Heejung Song

Comments


bottom of page